정부가 국내 출발 국제선 항공편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항공유(SAF) 혼합 의무제를 시행한다. 친환경 항공 연료 확산, 탄소 감축을 목표로 한 정책 변화에 기존 정유업계도 대책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일각에선 이미 SAF 생산설비 확대 등에 착수한 가운데 여전히 생산 원가, 원료 수급, 정책 불확실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는 지난 9월 ‘SAF 혼합의무화제도 로드맵’을 공개했다. 오는 2027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 항공편에 대해 항공유에 SAF를 1% 이상 혼합 의무화하는 것이 골자다.
이후 2030년까지 3~5%, 2035년에는 최대 10%까지 비율을 점진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혼합 의무는 항공사 대신 항공유 공급자(정유사·석유수출입업자 등)에게 부과된다. 위반 시 SAF 평균 거래가격의 1.5배 상당 과징금이 부과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산업부 등 관계부처와 항공업계, 정유업계 및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SAF 산업 기반 육성 민관 협의체 ‘SAF 얼라이언스’도 발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