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지의 기후탄력성을 높이고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절약하는 솔루션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은 도심지의 불투수층은 열을 흡수해 다시 방출하고, 건물은 바람의 흐름을 막아 축적된 열기의 배출을 방해하여 도시열섬현상을 심화시킵니다.
빗물저금통 모듈을 이용한 녹화 시스템은 대부분이 불투수층으로 이루어진 도심에서 옥상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녹지를 조성하여,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고, 집중호우 시 강우유출량을 줄일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유입수 저류량 |
---|
150 ℓ/㎡ |
빗물저금통 중량형 200

타입 | 모델명 | 규격(mm) | 물품식별번호 | 옵션 |
---|---|---|---|---|
기본 | EGK-RS-2020 | 200 × 200 × 150 | 24123599 | 옵션 미포함 |
옵션1 | 마사토, 부직포 포함 | |||
옵션2 | EGK-RS-2020 | 200 × 200 × 150 | 24123599 | 옵션1, 시공비 포함 |

제품특징
1. 유휴지 녹화를 통한 냉난방 에너지 절감
대부분이 불투수층으로 이루어진 도심에서 옥상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빗물저금통 모듈로 녹지를 조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냉난방 에너지 사용을 절감하고, 집중호우 시 강우유출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옥상과 유휴공간에 조성된 빗물저금통 기반 녹지는 뚜렷한 온도 저감 효과가 있습니다. 옥상정원은 월 평균 18.6%, 유휴공간은 월 평균 16.4%의 온도가 낮아지며, 도시열섬현상 완화 효과가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습니다.
- 서울산업진흥원 2019. 폭염 대응을 위한 인공지반 녹화 기술에 대한 연구
- 행정안전부 2023. 재난안전연구개발성과이음 [빗물저금통 순환시스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