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산물과 폐플라스틱을 결합해 만든 반복 재활용이 가능한 파스콘 소재의 트로프
트로프는 각종 케이블을 포설할 때 케이블의 통로를 확보하고 충격이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유지관리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설치되는 구조물입니다. 철도, 터널 등 SOC 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기존 트로프는 주로 시멘트와 콘크리트로 제작됩니다. 시멘트는 생산 과정에서 막대한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시멘트 콘크리트 트로프는 무겁고 충격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침식과 균열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습니다.
파스콘(PASCON)은 산업부산물(플라이애시·슬래그 등)과 폐플라스틱을 결합한 소재로 제작되어, 기존의 시멘트·콘크리트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대체합니다. 시멘트 사용을 줄여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고, 폐플라스틱의 활용도를 높이며, 사용 후에는 수거·분쇄를 거쳐 원료화하여 영구적 반복 재활용이 가능한 순환형 자재로 기능합니다.
파스콘 트로프












PASCON | 시멘트·콘크리트 | |
---|---|---|
중량 | 20% | 100% |
시공성 | 경량 공기 단축 및 공사비 절감 | 중량 운반 및 설치 장비 필요 |
생산성 | 1 | 0.25 |
난연성 | 난연성 | 불연성 |
환경성 | 생산 과정에서 온실가스 저감 효과 폐기물 발생없이 재활용 가능 | 온실가스 다배출 소재 시멘트 사용 폐기시 매립으로 인한 환경오염 |
제품특징
1. 합성수지와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재활용 가능 소재
PASCON은 골재 대신 플라이애시(화력발전소 연소부산물), 슬래그(제철소 용융부산물)등을 시멘트 대신 폐플라스틱으로 결합한 소재로 영구적인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2. 부식과 외부충격에 강한 물성
콘크리트트로프는 산성비로 인한 부식과 외부충격에 의한 균열, 파손이 발생합니다. 파스콘 소재는 충격강도와 내약품성이 우수하여 시공 후에도 부식, 균열 및 파손에 강합니다.

콘크리트트로프
파스콘트로프
3. 견고한 결합으로 밀실상태 유지가 용이한 디자인
콘크리트트로프는 몸체/뚜껑 고정기능이 없어 뚜껑이 이탈해 파손되기 쉽고, 밀실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 시공을 필요로합니다. 파스콘트로프는 제품간 암/수 연결구조와 결합용 클램프 등 견고한 결합 방식을 제공하여 밀실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폼으로 구멍을 막은 콘크리트트로프
파스콘트로프는 부식이 없고 밀실 상태가 양호함

몸체와 고정하는 기능이 없어 뚜껑이 쉽게 이탈함
몸체/뚜껑 결합용 클램프가 있어 이탈을 방지함

선형변경이 심해 연결부가 이탈함
제품간 연결구조가 견고해 선형변형이 적음
4. 뛰어난 물리적 특성
강도, 내약품성, 내연성, 용융점 등 모든 항목에서 고속철도 시험기준을 상회하는 물리적 특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시험항목 | 시험방법 | 고속철도 시험기준 | 시험결과 |
---|---|---|---|
압축강도 | KS M ISO 604 | 22 MPa | 63.7 MPa |
인장강도 | KS M 3006 | 9 MPa | 25.4 MPa |
굴곡(휨)강도 | KS M 3015 | 30 MPa | 48.0 MPa |
충격강도 | KS M 3015 | 30 J/m | 38.0 J/m |
내약품성 | KS M 3407 | 이상없음 | 이상없음 |
내연성 | KS M 3015 | 난연성 | 난연성 |
열팽창 | KS M 3015 | 150 × 10-6 이하 | 57.7 × 10-6 이하 |
용융점 | KS M 0007 | 150°C 이상 | 250°C 까지 녹지않음 |
하중변형온도 | KS M ISO 75-2 | 90°C 이상 | 150.3°C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