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수익보장형 입찰제 확대…BESS 전환에 18조 민간 자본 몰린다

호주 정부가 핵심 전력 인프라 투자 정책인 ‘전력투자계획(CIS)’의 지원 규모를 25% 확대하기로 했다.

이번 조치로 정부는 2030년까지 총 40기가와트(GW) 규모의 태양광·풍력 및 에너지저장장치(ESS) 설비 건설을 보장할 계획이다. 이는 기존 목표(32GW) 대비 8GW 증가한 수치로, 현재 호주 내 전체 석탄 발전설비 용량의 약 두 배에 해당한다.

신규 추가된 8GW 중 5GW는 대규모 배터리기반 에너지저장(BESS) 장치, 3GW는 대형 태양광·풍력 발전 설비가 포함됐다. 이는 약 1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전체 전력의 82%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2005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43% 감축한다는 목표 달성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크리스 보우엔 호주 에너지부 장관은 “이번 조치는 재생에너지 전환 속도를 높이기 위한 결정적 기회”라며 “석탄화력발전소의 조기 대체와 전력망 안정성 확보가 핵심 목표”라고 블룸버그, 로이터통신, 가디언 등 주요 외신이 29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최근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가격이 빠르게 하락하면서, 발전 및 저장설비 투자 비용이 크게 낮아진 상태다. 여기에 수익을 보장해주는 정부 입찰제도(CIS)가 확대되면서, 민간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됐다. 특히 저장설비 분야에는 약 210억 호주달러(약 18조1700억원)의 민간 투자가 유치될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