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CO₂)를 플라스틱 원료와 지속가능항공유(eSAF) 등 고부가가치 화학제품으로 전환하는 혁신 기술이 본격 실증에 들어갔다. 탄소중립 시대를 앞당길 게임체인저 기술로 평가받는 가운데, 정부의 대형 국책사업 추진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충청남도는 8일 한국중부발전 보령발전본부에서 김태흠 도지사와 김동일 보령시장, 김영식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그린올(Green-ol) 신에너지 기술 실증’ 시연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연의 핵심인 그린올 기술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지난해 개발한 이산화탄소 포집·활용(CCU) 기술로, CO₂를 전기·화학적 반응과 미생물을 통해 그린 에탄올, 메탄올, 플라스틱 원료, eSAF 등으로 전환하는 원천기술이다.
보령화력 내 구축된 실증 플랫폼에서는 현재 하루 300㎏의 CO₂를 전기·화학적으로 처리해 200㎏의 일산화탄소를 생산하고 있다. 생산된 일산화탄소는 바이오 공정을 거쳐 항공유 성분인 헥산올로 최종 전환된다. 정확한 헥산올 생산량은 향후 실증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확인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