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동향】 서울대-카이스트 연구진, 한국 2035년 NDC 60% 감축 가능

서울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26일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해외 감축 수단에 의존하지 않고 국내 정책만으로도 2035년까지 온실가스를 2018년 대비 60%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행정대학원 최현태 연구원과 박상인 교수,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가 공동 수행했으며, 국제 학술지 동료평가를 앞두고 학술 플랫폼 ‘어스 아카이브(Earth Arxiv)’에 프리프린트로 공개됐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최현태 연구원과 박상인 교수, 카이스트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전해원 교수가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국제 탄소시장 활용 없이도 실현 가능한 최고 수준의 국내 감축 경로가 제시됐다. 연구진은 현 정부가 출범 직후 제출을 앞두고 있는 2035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이러한 현실적이면서도 진전된 조치들을 반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앞서 지난 4월 한국의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과 미국 메릴랜드대학교가 공동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감축 가능 목표인 61%와 유사한 수준이다.

유엔은 현재 한국을 비롯한 각국에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제출을 오는 9월까지 권고하고 있다. 이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지난 18일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회의에서 9월 중 정부 초안을 마련하고 10월 말 최종안을 확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국이 제출할 이번 NDC는 국제사회에서 기후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중요한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연구진은 논문을 통해 현재의 정책 기조로는 2030년 목표 달성조차 불확실하다며, 2035년 목표 수립 과정에서 과감한 정책 전환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 맞춤형 통합평가모형인 GCAM-ROK(Global Change Analysis Model for Republic of Korea)를 활용해 전력, 산업, 건물, 수송, 농업, 폐기물 등 전 부문에서의 정책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한 결과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