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합 플라스틱 재활용, 새 니켈 촉매로 ‘재활용 불가’ 장벽 허물다

혼합 플라스틱 폐기물을 미리 분류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최소화하고, 재활용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업사이클링 기술이 개발됐다.

최근 외신을 종합하면 노스웨스턴대학교 화학자들이 개발한 저비용 니켈 기반 촉매를 활용한 새로운 업사이클링 기술은 폴리올레핀 플라스틱을 윤활유, 연료, 양초 등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기존 공정에서 재활용이 어려웠던 PVC 혼합 폐기물 처리도 가능하다.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으로 이루어진 폴리올레핀 플라스틱은 전 세계 플라스틱 소비량의 약 3분의 2를 차지하며, 일상에서 가장 흔히 접하는 폐기물이다. 요구르트 컵, 스낵 포장지, 샴푸 병부터 의료용 마스크까지, 사람들은 하루에도 수차례 폴리올레핀 제품과 접촉한다.

그럼에도 재활용률은 전 세계적으로 1~10%에 불과하다. 그 이유는 폴리올레핀이 강력한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져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기존 업사이클링 공정은 플라스틱을 파쇄해 녹이는 방식이나, 400~700°C 고온 열분해가 대부분이었으나, 전자는 노동 집약적이며, 후자는 에너지 효율이 낮았다.

연구팀은 풍부하고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니켈 화합물로 합성된 양이온성 니켈 촉매를 개발했다. 기존 수소분해 공정이 백금, 팔라듐과 같은 고가 귀금속 촉매와 높은 온도를 요구했던 반면, 새로운 촉매는 100°C 낮은 온도에서, 수소 가스 압력도 절반 수준에서 작동한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