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1조원 투입해 저탄소 연료 산업 띄운다…SAF·바이오디젤 자립 속도

호주 정부가 저탄소 연료 산업 육성을 위해 7억3500만달러(약 1조186억원)를 10년에 걸쳐 투자한다. 블룸버그는 17일(현지시각) 호주 정부가 바이오연료 산업을 본격 출범시키는 계획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해외 수출 중심 구조에서 국내 산업화로

호주는 카놀라, 사탕수수, 수수, 우지 등 바이오원료 생산 강국이지만 국내 에너지 수급은 여전히 수입산 휘발유에 크게 의존해왔다. 생산된 작물 상당수도 해외로 수출돼 자국 내 부가가치 창출로 이어지지 못했다.

특히 호주산 카놀라는 매년 170만~180만 톤이 유럽연합(EU)으로 수출되며 전체 카놀라 수출의 70~78%를 차지한다. 유럽 바이오디젤 산업의 핵심 원료로 자리 잡았지만 호주 내 활용은 제한적이었다. 호주과학산업연구기구(CSIRO)는 호주 카놀라가 유럽 재생에너지 지침(EU RED)의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충족한다는 평가를 내놨으며, 이를 통해 유럽 시장 접근성이 유지돼 왔다. 특히 비유전자변형(non-GM) 카놀라는 프리미엄 가격을 받을 수 있어 농가 수익성에도 기여해왔다.

곡물업체 그레인코프(GrainCorp) 역시 “국내 카놀라의 약 70%가 가공되지 않은 채 수출돼 해외에서 재생연료로 쓰이고 있다”며 “이제는 그 부가가치를 호주 내에서 창출해야 한다”고 밝혔다.

SAF·바이오디젤 시장 선점 전략

호주 정부는 이번 투자를 ‘새로운 산업을 여는 선급금(down payment)’으로 규정했다. 짐 차머스 재무장관은 “호주인과 호주 경제가 글로벌 넷제로 전환의 최대 수혜자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고, 크리스 보웬 기후·에너지 장관은 “농가 수익성 확대, 일자리 창출, 배출 저감이 동시에 가능하다”며 정책 효과를 ‘3중의 승리(win-win-win)’로 설명했다.

투자금은 2028년부터 집행되며, 민간 기업은 경쟁 입찰을 통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선정된 프로젝트는 2029년까지 연료 생산을 시작해야 한다. 단순한 보조금이 아니라, 글로벌 수요가 급증하는 지속가능항공연료(SAF)와 바이오디젤 시장에서 호주의 전략적 입지를 선점하기 위한 포석이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