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속도로 진화하는 인공지능(AI)의 물결은 산업 전반을 송두리째 바꾸어놓고 있다. 특히 거대언어모델(LLM)로 대표되는 생성형 AI 기술은 정보검색, 콘텐츠 생산, 자동화 영역을 넘어, 이제는 국가 에너지 수급 문제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과거 스마트폰의 보급이 생활방식을 바꾸어 놓았듯, AI는 그보다 더 깊숙이 산업과 사회의 작동 방식을 재편하고 있다.
문제는 AI의 뒷단을 지탱하는 데이터센터가 상상을 초월하는 전력을 소모한다는 점이다. 단순한 웹 검색보다 LLM 기반 검색이 20배가량 많은 전기를 사용한다는 분석도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이 같은 추세라면 2030년에는 데이터센터 전력 소비가 2023년 대비 4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AI 시대의 급증하는 전력수요는 곧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새로운 도전과제를 낳고 있다. 특히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수많은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면서 전력 공급을 자체적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점에서 전기 소비량의 폭증을 감당하면서도 ESG 경영의 일환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하는 이들 기업에게 가장 매력적인 해답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