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1.5°C 목표 사실상 실패, 2.0°C 방어가 새 마지노선”

지구 온난화에 대처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잠정적 기준치로 잡았던 지구 온도 1.5°C 상승 억제 목표가 사실상 실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업 라이스태드 에너지(Rystad Energy)가 경고했다.

라이스태드 에너지는 이달 초 배포한 ‘지구 온도 집중 조명: 2.0°C는 새로운 1.5°C인가?’ 보고서에서 최근의 다양한 과학적 주요 연구를 종합하면 올해(2025년) 지구 온도가 산업화 시기 이전에 비해 1.5°C 상승할 확률이 33%에 이른다고 밝혔다.

유럽중기예보센터(ECMWF)의 코페르니쿠스 기후변화 서비스에서 생성한 5세대 대기 재분석 자료인 ERA5에 따르면 2023년과 2024년 연평균 지구 기온은 엘니뇨 현상으로 2년 연속 1.5°C를 넘었다가 일시적으로 반전했다. 라이스태드 에너지는 엘니뇨와 아시아 전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폭염 등을 반영한 장기적인 온도 상승 추세선을 분석했을 때, 2025년이면 지구 평균 온도가 산업화 이전 대비 1.5°C 상승이라는 수치에 확고하게 도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주장의 핵심 근거는 과거 기후 예측 모델의 일부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지나친 낙관론에 기반했다는 점이다. 보고서는 노르웨이 시세로(Cicero) 국제 기후 연구 센터의 최근 연구를 인용하며, 일부 낙관적인 기후 모델들이 실제 위성으로 관측된 지구의 에너지 불균형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아 예측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2029년으로 계획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다음 평가 보고서까지 과학자들이 공식 선언하지 않더라도, 1.5°C 기준은 이미 지나 온 것으로 보인다고 라이스태드 에너지는 분석했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