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지속가능항공연료(SAF) 의무화 정책이 실행 단계에 돌입했다. 블룸버그는 15일(현지시각) 싱가포르 의회가 출국 항공편에 ‘친환경 연료 부담금’을 부과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보도했다.
부과금은 민간항공청(CAAS)이 징수·관리하며, 항공사들이 사용할 SAF를 중앙에서 조달하는 데 사용된다.
SAF 의무화 이행, 첫 과제는 ‘가격’
싱가포르는 지난해 ‘지속가능한 항공 허브 청사진(Sustainable Air Hub Blueprint)’을 통해 2026년부터 출국 항공편의 SAF 사용을 의무화하고 2030년까지 비중을 3~5%로 높이는 목표를 제시했다.
다만, SAF는 기존 제트연료보다 최대 5배 비싸서 항공권 인상 요인으로 지적돼 왔다. 항공사들이 개별적으로 SAF를 구매할 경우 조달 단가와 공급 안정성 측면에서 불리하다는 점도 부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번 법안은 SAF 사용 확대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고 조달 구조를 단일화하기 위한 조치로, 정부가 직접 조달 및 배분을 맡는 구조로 설계됐다. 싱가포르 교통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항공권 가격 인상 폭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