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 세계 첫 플라스틱 여권 도입…아세안 5조8600억 순환경제 겨냥

싱가포르가 세계 최초로 정부 주도의 플라스틱 여권 제도를 출범시켰다.

지속가능성 전문 매체 ESG 뉴스는 18일(현지시각) 싱가포르가 나스닥 상장사 SMX(에스엠엑스·Security Matters)와 국립 연구기관 A*STAR(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의 기술을 기반으로 국가 차원의 플라스틱 추적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보도했다.

분자 단위 추적으로 ‘프루프 프리미엄’ 창출

이번 제도의 핵심은 플라스틱 원재료에 보이지 않는 분자 단위의 식별자를 섞어 넣는 기술이다. 일종의 ‘분자 바코드’ 역할을 하는 이 마커(marker)는 제품이 잘리거나 분쇄돼도 남아 있어, 조각 하나만으로도 생산지와 원료, 재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싱가포르는 SMX와 연구 파트너 A*STAR가 개발한 이 기술을 모든 고분자 제품에 적용해, PET병부터 자동차용 수지까지 출처와 재사용 여부를 검증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했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