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도 환경부 예산 15조9160억원 가운데 36.4%인 5조8000억원이 기후재난 대응 등 사회안전망을 조성하는데 사용되고, 34.5%인 5조5000억원이 재생에너지와 전기차 확대 등 탈탄소 정책을 추진하는 용도로 사용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내년도 예산안 및 기금이 올해보다 7.5% 증가한 15조9160억원으로 편성했다고 2일 밝혔다. 이 가운데 예산안은 올해보다 8.7% 증액된 14조1154억원이고, 기금은 0.9% 감액된 1조8006억원이 편성됐다. 특히 환경분야 기술개발 예산이 올해보다 19.8% 증액된 4180억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로 편성됐다. 이 항목에 증액된 537억원의 예산 대부분은 기후대응 기술개발에 집중했다.
5조5000억원이 투입되는 ‘탈탄소 정책’ 분야에서 내연차를 전기차로 전환하는데 투입되는 보조금으로 1775억원이 신규 편성됐고, 전기·수소차 구매융자 737억원, 전기·수소차 인프라 펀드 출자금 740억원, 전기차안심보험에 20억원이 신규로 편성됐다. 또 건물 탈탄소를 위해 가스난방을 전기난방으로 바꾸는 열히트펌프 사업에 90억원, 주민주도형햇빛연금에 49억원이 새로 편성됐다.
탈탄소 산업 전환 자금도 늘렸다. ‘미래환경산업육성융자’ 예산은 27.6% 증액한 4253억원을 편성했고, 녹색정책금융활성화 예산도 23.2% 증액한 665억원으로 늘렸다. 녹색전환보증도 7.1% 늘린 1500억원을 편성했고, 녹색채권·유동화증권 예산도 25.6% 증액한 245억원을 편성했다. 또 미래환경산업투자펀드 조성액도 29.7% 늘린 592억원으로 잡아놨고, 배출량 할당업체를 지원하는 탄소중립설비투자지원 예산은 1.9% 늘려 1100억원으로 편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