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규제 강화와 AI 확산으로 기후테크 산업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전 세계 기후테크 유니콘이 118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 중 한국 기업은 단 한 곳도 없어 K-유니콘 육성을 위한 제도적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전경영연구원이 31일 발표한 ‘글로벌 기후테크 유니콘 기업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가치 10억달러(약 1조4000억원) 이상의 기후테크 유니콘은 전 세계 118개에 이른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홀론IQ 집계 결과다.
기후테크는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위기 대응을 목표로 하는 기술산업 분야로 에너지·수송·자원·식품·환경 관련 산업을 포괄한다.
美 실리콘밸리가 글로벌 허브…中 전기차·배터리 압도
국가별로는 미국이 47개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실리콘밸리의 딥테크 생태계를 기반으로 핵융합, 에너지 플랫폼, 배터리, 모빌리티 등 전 분야에서 선도기업을 배출하며 글로벌 기후테크 혁신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 벤처캐피털(VC)이 기술 상용화 단계까지 긴밀하게 연계돼 AI 및 데이터 기반 플랫폼과 결합한 혁신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
중국은 35개로 2위를 기록했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과 거대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공유 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 스타트업이 급성장하면서 세계 전기차·배터리 분야 유니콘의 70%가 중국에 집중됐다.
유럽은 25개로 3위다. 친환경 규제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강화에 따라 에너지, 탄소배출권 거래·관리, 산업공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니콘이 탄생했다. 독일(6개), 스웨덴(5개), 영국(4개), 프랑스(3개)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