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탄소 다급한 K조선…선박용 ESS 달고 출항 채비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들이 선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탄소 배출 규제를 강화하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해 내연기관을 대신할 새로운 발전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다. 조선 3사는 선박용 ESS를 향후 암모니아, 메탄올, 수소전지 등 차세대 연료와 접목해 친환경 선박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
‘脫탄소’ 다급한 K조선…선박용 ESS 달고 출항 채비이미지 크게보기
◇2050년 ‘넷제로’ 위해 ESS 필수
21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제해사기구(IMO)는 선박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2027년 상반기부터 5000t 이상 선박에 t당 100~480달러 부담금을 물리기로 했다. IMO는 항해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2028년에는 2008년 배출량의 17%만큼 감축하고, 2030년에는 21% 줄이도록 못 박았다. 이런 식으로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조선업계가 선박용 ESS 개발에 뛰어든 건 배에서 운용하는 발전기를 대체할 전기 저장 시스템이 필요해서다. 기존 배터리는 용량 문제로 일부 중소형 선박에 장착돼 내연기관을 보조하는 역할에 그쳤다. 조선업계는 그동안 배터리 기술이 크게 향상된 만큼 대형 선박용 ESS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케츠앤드마케츠에 따르면 글로벌 선박용 ESS 시장은 2021년 21억달러(약 3조원)에서 2030년 76억달러(약 10조원)로 연평균 15.5%씩 커질 전망이다.
◇조선 3사 선박용 ESS 개발 박차
선박용 ESS 개발에 가장 적극적인 국내 조선사는 삼성중공업이다. 이 회사는 2019년부터 삼성SDI와 공동 개발한 리튬이온배터리 시스템으로 노르웨이 선급협회 DNV GL에서 형식승인을 받았다. 선박 내 발전기와 전력 부하를 최적의 상태로 관리해 발전기 연료 소모량을 줄인 게 특징이다. 오염물질은 물론이고 운항 비용도 줄일 수 있다고 회사는 설명했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