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라이튼(Lyten)이 북미·유럽 에너지저장장치(BESS) 시장 진출과 리튬-황 전기차(EV) 배터리 상용화를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클린테크니카는 7일(현지시각) 라이튼이 지난해 파산한 유럽 에너지저장업체 노스볼트의 핵심 자산을 잇따라 인수해 생산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스텔란티스와의 협력을 통해 차세대 EV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보도했다.
라이튼은 리튬-황 배터리 핵심 소재인 황이 저렴하고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경량화와 원가 절감 효과가 크고, 기존 제조설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생산 전환 비용도 낮다.
다만 상용화의 걸림돌은 화학·기계적 성능 열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라이튼은 2024년 5월부터 미국·유럽 완성차 업체에 시험용 파우치형 셀을 공급하기 시작했으며, 모든 제품은 실리콘밸리 파일럿 설비에서 제작됐다.
자사 독자 기술인 ‘3D 그래핀’을 적용해 에너지 밀도를 기존 리튬이온의 2배 수준으로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니켈·코발트·흑연 등 광산 채굴 광물을 85%까지 제거해 ESG 요건도 충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