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 뉴사이클링을 통한 친환경 건설 솔루션
매년 1,400만 톤 이상의 플라스틱 폐기물이 바다로 유입되어 태평양에 거대 쓰레기 지대(Great Pacific Garbage Patch)를 형성하고 있으며, 생태계와 인류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형 플라스틱 부산물(농업용 비닐, 그물, 어망 등 모든 플라스틱)을 활용해 탄소를 감축하고, 이를 인프라 시설에 구조체로 적용할 수 있도록 성형한 친환경 건설/토목용 블록 시스템입니다.
Eco-C CUBE


반장 | 온장 | |
---|---|---|
규격 mm (W × D × H) | 520 × 510 × 125 | 520 × 510 × 250 |
중량 kg | 34 | 68 |
제품 특징
1. New-Cycling 기반 저탄소 제품
농업용 폐비닐, 멀칭 필름 등은 이물질(토양, 농약, 유기물 등) 혼입률이 높아 재활용률이 낮아 자원화에 한계가 있습니다.
→ Eco-C CUBE를 만드는 New-Cycling 기술은 혼합 플라스틱을 융합한 자원화가 가능하며, 기존에 해결할 수 없던 저등급 플라스틱의 순환 이용 문제를 해결합니다.

2. 기존 공정 대비 높은 재활용률
기존 폐플라스틱 재활용 공정은 고비용·저효율 구조이며 재활용률이 제한적입니다.
→ 세척·분류 없이 플라스틱 부산물의 본래 물성(강도, 유연성 등)을 최대한 유지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산사태, 홍수 및 침수, 지진 방재 등)를 방재하는 기반시설용 구조물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적용 분야 | 적용 예시 | 효과 |
---|---|---|
농업기반시설 | 농로보강, 소규모 제방, 배수로 보강 등 | 농로 확장 및 안정성 확보 |
민간 및 공공시설 기초 | 창고기반시설 주변 옹벽, 등산로 계단 보강 등 | 산사태 예방, 시민공간 안정성 확보 |
침수 대응 인프라 | 농촌 배수개선 및 유수지 보강 등 | 기후위기 대응 강화 |
3. 온실가스 저감
제조 과정에서 콘크리트 대신 폐플라스틱을 사용하여 탄소발자국을 낮출수 있으며, 재활용하지 못하는 폐플라스틱의 소각을 예방함으로 추가적인 저감 효과가 있습니다.

2025 edison awards | 탄소감축평가 인증 |
---|---|
첨단 엔지니어링 인프라 솔루션 부문 은상 | 제품 1개당 75.69kgCO2-eq의 저감 효과 인증 |
에디슨 제단 | SDX 탄소감축인증센터 |
4. 실용적인 기후변화 대응
콘크리트 블록 대비 내구성과 강도가 우수하며, 입체결합 옹벽블록과 함께 시공하여 콘크리트 블록보다 강도높은 구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압축강도 | 인장강도 |
---|---|
26MPa | 16MPa |

Eco-C CUBE와 입체결합 옹벽블록 복합 시공
핵심 기술

폐플라스틱을 100% 재활용하여 소각, 매립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과 미세플라스틱 유출을 방지합니다. 분류 세척 공정이 없어 공사비를 절감합니다.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완전히 해결할 수 있는 토털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