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솔루션
기후위기로 인한 집중호우, 산사태, 지진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입체결합옹벽은 자연재해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후변화 대응 솔루션입니다.
중형블록

마감형 (반장, 온장)

기본형 (반장, 온장)
반장 | 온장 | |
---|---|---|
규격 mm (W × D × H) | 520 × 510 × 125 | 520 × 510 × 250 |
중량 kg | 34 | 68 |
소형블록
셀프시공 가능

마감형 (반장, 온장)

기본형 (반장, 온장)

곡선형 (온장,반장)
곡선부 사용 9°

곡선B형 (온장,반장)
곡선부 사용 15°

급커브형 (온장,반장)
곡선부 사용 45°
반장 | 온장 | |
---|---|---|
규격 mm (W × D × H) | 260 × 260 × 200 | 260 × 260 × 100 |
중량 kg | 7 | 14 |
제품 특징
1. 안정성
온장블록과 반장블록을 이용한 지그재그 형태 시공으로 기존 옹벽에 비해 수평토압에 높은 저항력을 가집니다.
부등침하 시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여 일부 부동침하가 발생하더라도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일반 보강토옹벽 : 부등침하로 인한 블록 파손

입체결합 옹벽블록 : 상하 움직임이 가능함
2. 수리에 대한 안정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내 급경사수로 수리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최대 유속 5.4 m/s에서도 입체결합옹벽의 안정성을 입증했습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실험센터 실험. 2105년
3. 내진성능
2017년 포항지진과 같은 지진파를 이용하여 1m ~ 5m 높이의 입체결합옹벽(중력식)에 대한 외적안정성 및 내진성능을 검토한 결과 입체결합옹벽의 변형량은 경미한 수준으로 옹벽 전체의 외적안정성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한국지반공학회 내진해석 결과. 2020년
4. 경제성
다양한 현장 여건에 대해 일관성 있는 시공이 가능하고, 블록 간 연결을 위한 다른 공정이 불필요해 경제적입니다. 일부 블록이 손상되어도 훼손된 부분만 몰탈로 처리하여 전체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현장과 목적에 맞춘 다양한 적용
기후변화 대응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로부터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산사태 예방
- 산림 지역 방재
- 주거지 인근 사면 안정화
홍수 및 침수 대응
- 하천 제방 강화
- 하천 범람 방지


지진 방재
- 내진 설계 적용 옹벽
- 지진 대비 사면 안정화
- 도로 인프라 내진 보강
- 철도 및 교량 보호
해안 침식 방지
- 방파제 설치
- 항만구조물 보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