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2035년 온실가스 7~10% 감축…시장제도·산업 규제로 속도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4일(현지시각) 유엔 기후정상회의 화상연설에서 오는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정점 대비 7~10% 줄이겠다고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중국이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한 정량적 감축 목표를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는 비(非)화석연료 소비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고, 풍력·태양광 설비를 36억㎾(킬로와트)까지 끌어올리며, 신에너지차를 신규 차량 판매의 주류로 만들겠다는 계획도 함께 제시했다. 시 주석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그치지 않고 더 나은 성과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중국 정부는 최근 재생에너지 전력시장 개편과 태양광 과잉 공급 단속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들은 시 주석이 밝힌 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과도 맞물려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6월부터 재생에너지 전력 가격을 시장 기반으로 전환했다. 기존의 일률적인 기준가격 연동제와 달리 지역별 수요와 계통 상황을 반영해 가격을 차등화함으로써, 무분별한 설비 확장과 잉여 전력 낭비 문제를 줄이려는 목적이다.

24일(현지시각) 블룸버그에 따르면, 중국 최대 해상풍력 발전지인 광둥성은 이번 주 처음으로 재생에너지 연례 입찰 가격 범위를 설정하며 해상풍력에 유리한 가격 범위를 제시했다. 신규 태양광 발전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단가를 적용받게 된다.

광둥성 재생에너지 입찰 가격 범위 / 블룸버그 정리
한편, 중국 최대 태양광 지역으로 꼽히는 산둥성은 7월 기준 91.3GW(기가와트)의 태양광 설비와 27.5GW의 풍력 설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집중으로 낮 시간대 전력 공급이 과잉되면서 전력가격이 자주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문제가 발생해, 당국은 정책 전환에 나섰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