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서 분해되는 플라스틱 소재 발견…13개월만에 80% 분해

저온·고압 환경으로 플라스틱 분해가 극도로 어려운 심해에서도 생분해되는 플라스틱이 등장했다.

26일(현지시간) 일본 신슈대학, 군마대학, 해양지구과학기술청(JAMSTEC) 연구팀은 플라스틱 소재인 ‘LAHB’가 심해 미생물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원리를 규명했다. LAHB는 유전자 조작한 대장균을 사용해 합성한 젖산 기반 폴리에스터로, 강물과 얕은 바닷물에서 분해되는 성능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연구팀은 각각 젖산 6%(P6LAHB)와 젖산 13%(P13LAHB)를 함유한 LAHB 필름을 바이오플라스틱 소재인 폴리락타이드(PLA)와 함께 하츠시마섬 인근 855m 깊이의 해저에 두고 경과를 관찰했다. 해당 환경은 수온 3.6°C에 높은 염도, 낮은 용존 산소로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분해하기 어려운 조건이었다.

관찰 결과 P6LAHB와 P13LAHB 모두 7개월만에 질량의 30.9%, 13개월만에 82%가 분해됐다. LAHB 필름의 표면에는 균열이 생겼고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막에 덮여 있었다. 이는 심해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분해한 흔적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반면 PLA 필름은 시간이 지나도 거의 분해되지 않았으며, LAHB 필름에서 관찰된 생물막도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contact-form-7 id="9745"]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컨설팅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 동의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일반 문의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사명, 담당자 이름, 이메일주소, 담당자 연락처, 문의 내용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