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전망 없는 에너지 전환은 없다… 인프라·기술·정책 ‘3축’ 균형 필요

재생에너지 확대와 분산형 전원 도입이 본격화되면서 국내 전력계통은 빠른 속도로 재편되고 있다. 전력 수요와 공급의 중심이 중앙집중형 체계에서 분산형 구조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계통 안정성, 유연성 확보, 실시간 제어 능력 등 새로운 기술적 과제가 부상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전환이 실질적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전력 인프라 구축과 사회적 수용성이라는 비기술적 요인도 병행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동서울변전소와 관련된 초고압직류송전(HVDC) 사업이 지목된다. 동해안 지역에서 생산된 청정에너지를 수도권으로 보내기 위한 송전망 구축 계획은 인근 지역의 인허가 지연으로 추진에 난항을 겪고 있다. 발전된 전력을 수요처로 이동시키는 기반 인프라가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에너지 전환의 실효성은 확보되기 어렵다. 이는 기술적 완성도와는 별개로 전력계통 운영이 사회적 합의와 인프라 수용성이라는 외적 변수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연관 뉴스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컨설팅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

      업무 문의

        개인정보 수집과 이용에 동의합니다.

        문의를 위한 개인 정보를 다음과 같은 목적에 의해서 수집하고 보유합니다.

        • 수집목적: 본인확인, 도입관련 상담/문의, 제품소개 요청에 대한 처리

        • 수집항목: 필수정보. 이름, 이메일, 연락처, 문의내용 / 선택정보. 회사

        • 수집근거: 개인정보 주체의 동의

        • 보유기간: 문의등록 후 1년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