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과 경영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연합(EU)이 올해부터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등 ‘기차는 이미 출발했다’는 전망과 함께 도널드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으로 에너지 지정학의 판도가 급변하는 만큼 기업들로선 ESG 경영과 관련해 전략적인 판단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한국은행, 기후변화 대응 못하면 “인플레 유발하고 통화정책 약화”
중앙은행이 기후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합리적이며 법률적으로도 적합한 중앙은행의 책무에 해당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를 위해 중앙은행은 다양한 정책을 이용할 수 있다는 방향도 제시됐다.
기업가치 평가에서 지속가능성 정보 중요해져
최근 기업가치 평가 방식에서 재무제표 의존 방식이 아닌 지속가능성 정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정부 2025년 경제정책방향에 담긴 기후정책 뜯어보니
정부가 3월 중 재생에너지 보급 확산 방안을 내놓기로 했다. 태양광과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 보급에서 공공역할을 확대하고 비용을 낮추는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또한 하반기에는 재생에너지 등 신규 에너지 설비가 허가 단계에서부터 지역적으로 분산될 수 있도록 전력계통 관련 정보 제공이 확대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력계통통합정보 시스템을 구축해 출력제어 현황이나 계통관리변전소를 안내할 계획이다.
“ESG 규제 준수, 경영간섭 아냐”…공정위 심사지침 개정
공정거래위원회가 환경·사회적 책무·기업지배구조 개선(ESG)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한 기업의 활동은 경영간섭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했다. 공정위는 이런 내용이 담긴 ‘불공정거래행위 심사지침’을 개정해 30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2025년 달라지는 환경정책들…기후테크 기업 1.5조 보증 등
환경부가 2025년부터 달라지는 주요 10개 환경정책을 공개했다.